top of page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다.

증권플러스를 개발 및 운영하는 두나무가 해외 비트렉스(Bittrex)와 독점 제휴[1]를 맺고 2017년 10월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출범시켰다. 한국에서 가장 많은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이며, 현재는 비트렉스와의 제휴관계가 종료되었다.

카카오톡으로만 로그인이 가능했으나 카카오에서 가상자산 업종의 카카오 로그인 연동을 제한하여 '업비트 자체 로그인'으로 전환했다. 

한때 원화 마켓 기준으로만 세계 거래량 1위였다. 업비트가 직접 보도자료로 밝힌 내용에 따르면 회원 수는 총 120만 명, 일 평균 이용자는 100만 명, 동시 접속자는 30만 명, 일 최대 거래액은 10조 원, 12월 일 평균 거래액은 5조 원이라고 한다. 링크 BTC/ETH/USDT 마켓의 거래액은 비트렉스 기준을 따르며 [2] 2018년 1월 원화 마켓 거래량만으로 전 세계 1위 거래소에 리스팅되었다.

2017년 10월 24일 오픈베타 서비스를 시작으로 개장하였다. 업비트는 크게 원화(KRW), 비트코인(BTC), 테더(USDT)의 3개의 화폐들로 거래할 수 있는 각각의 시장이 있다. 참고로 USDT는 달러가 아니다. 흥미로운 점은 업비트에서 USDT를 판매하거나 입출금 지원을 하지않는데 시장은 열어두었다는 점이다.

깔끔한 UI와 국내에서 유일하게 여러 가지의 알트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라는 장점이 부각되며, 두달만에 이용자들이 크게 늘어서 2017년에 세계 1위 거래소가 되었다.

원화 마켓은 업비트가 자체 운영하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마켓은 비트렉스 전산을 같이 사용하므로 비트렉스에서 거래하는 것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거래량 부족을 해결하였다.

이렇다 할 공개된 API가 없었다가, 2018년 6월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 Instagram

업비트 입출금 장점

비트 오픈 초창기에는 북미 거래량 1위였던 거래소[3]인 비트렉스와의 독점 제휴. 이로 인해 한국 내 타 거래소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암호화폐들이 있으며, 앞으로의 신생 암호화폐가 비트렉스와 글로벌 동시 상장(한화 거래 제외)[4]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는 비트렉스와의 제휴관계가 종료되었다.증권플러스를 개발한 두나무가 운영하는 거래소인 만큼 UX가 매우 좋다. 타 거래소와 다르게 평가 손익, 수익률, 총 평가 등. 사용자가 일일이 계산해야 할 귀찮은 일들을 알아서 계산하여 보기 좋게 정리해준다. 해외 거래소와 비교해도 최고라고 평가해도 손색이 없다.최고의 장점은 업비트 앱이다. 타 거래소 앱은 물론이고 웬만한 주식거래 앱보다도 편리하다는 평을 받으며, 업비트를 사용하지 않는 코빗과 코인원 유저들도 업비트 앱을 깔아두고 자주 보는 편. 차트 기능이 월등하다.2020년 6월 23일 케이뱅크와의 서비스 제휴로 원화 입금이 가능해졌다. 이후 타 거래소와 마찬가지로 신규가입 이벤트를 종종 진행하고 있다.앱 자체의 속도가 매우 빠르며 화면 전환이나 거래를 하는 데에 있어서 불편함이 거의 없다. 같은 국내 거래소인 빗썸과 비교하면 월등한 차이가 날 정도이며, 업비트 이용자가 빗썸을 이용할 경우 엄청나게 느린 앱 속도 때문에 빗썸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업비트 단점

24시간 카톡 상담이 주된 고객센터 채널이고 전화 상담은 연결이 어렵다.일부 가격대에서 최소 호가단위(틱)가 현재 다른 거래소들에 비해 높다. 타 거래소의 경우 시세가 100원 이상인경우 0.1원단위의 틱으로 조정된 곳이 많지만, 업비트는 100원 이상인경우 1원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비단 100원 이상의 경우에 그치지 않고 10원, 1000원 단위같이 자릿수가 바뀌는 모든 부분에서 동일하게 작동한다. 심지어 비트토렌트의 경우엔 틱당 10% 이상의 차이를 보인다.

2018년초 일부 사용자들 사이에서 입출금을 지원하지 않는 알트코인은 업비트에서 실물 코인을 보유하지 않고 장부상 거래만 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였다. 이에 대해 업비트측에서는 개발에 시간이 걸리고, 입출금시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후에 입출금 기능을 추가할 것이라고 한다 이것을 거래하지 않고 보유하고만 있다가 나중에 곳간 주인에게 증서에 써있는만큼 쌀을 달라고하니 주인이 쌀을 못준다고 하는 것과 비슷한 경우이다.

bottom of page